마취 후 입술 감각 이상, 언제까지 지속되면 병원 가야 할까요? – 20대 중반 치과위생사가 알려주는 감각 이상 원인과 대처법

마취 후 입술 감각 이상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근무 중인 20대 중반 치과위생사입니다.
치과 치료 중 가장 불안한 순간 중 하나가
바로 마취 주사일 거예요.
주사 자체도 무섭지만, 치료가 끝나고 나서
입술이나 볼 쪽 감각이 이상하게 느껴질 때,
많은 분들이 당황하시죠.

진료실에서 자주 듣는 질문이 있어요.

“마취 풀렸는데 아직도 입술이 저릿해요. 괜찮은 건가요?”
“아랫입술 감각이 없어요. 신경 다친 건 아닌가요?”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오늘은 실제로 진료 중에 환자분들께 자주 설명드리는 내용을 정리해서
마취 후 감각 이상이 생기는 원인,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병원에 다시 와야 하는지

하나하나 차분히 알려드릴게요.


마취 후 감각 이상, 흔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치과 마취 후 일시적인 감각 이상은 꽤 흔합니다.

특히 아래 어금니(하악) 치료 시에는
‘하악 치조신경’을 중심으로 마취를 하게 되는데,
이 신경은 입술, 턱, 아래 볼 쪽 감각과 연결되어 있어서
치료가 끝난 뒤에도 감각이 둔하게 남거나, 저릿한 느낌이 오래 가는 경우가 있어요.

그 자체만으로도 당장 큰 문제는 아니고,
대부분은 수 시간에서 수일 안에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조금 더 신중한 관찰이 필요해요.


마취 후 감각 이상이 생기는 주요 원인 4가지

  1. 마취 주사 자체로 인한 신경 주변 자극
    치조신경 마취는 신경 가까이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정확한 위치에 들어가더라도
    일시적으로 신경이 압박되거나, 약물이 주변 조직에 퍼지면서
    감각 이상이나 저림이 생길 수 있어요.

  2. 마취 후 피멍이나 출혈로 인한 압박
    잇몸 속 혈관이 약간 손상되면서
    출혈이 생기거나 피멍이 생기면
    신경 주위 조직이 부어오르며 감각을 눌러서
    저림이나 무감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요.

  3. 환자 개개인의 신경 민감도 차이
    같은 마취 주사라도, 어떤 분은 금방 풀리고
    어떤 분은 하루가 지나도 감각이 둔하다고 느끼세요.
    체질이나 신경 재생 속도, 혈류 순환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드물지만 신경 접촉 또는 손상
    정확한 위치에 주사했지만
    신경을 살짝 건드렸거나
    바늘이 너무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경미한 신경 접촉으로 인해 감각 회복이 지연될 수 있어요.
    이런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좋아지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선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보통은 아래와 같은 경과를 보입니다.

  • 3~5시간 이내: 대부분의 경우 마취가 자연스럽게 풀림

  • 12~24시간 경과: 입술이나 턱에 약간 둔한 감각이 남을 수 있음

  • 2~3일: 간헐적인 저림, 민감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서서히 회복됨

  • 일주일 이상: 아직도 감각이 둔하거나, 아예 느껴지지 않는다면
    → 반드시 치과에 내원하여 상태를 점검받아야 합니다

즉, 마취 후 하루 이틀 동안 저릿하거나 묘한 느낌이 남는 건 흔한 반응이지만,
일주일이 지나도 감각에 변화가 없거나,
감각이 점점 더 무뎌지고 있다면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즉시 치과에 재방문하세요

  • 입술, 턱, 혀의 감각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 뜨거운 음식에 닿아도 감각이 없다

  • 말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입 모양이 이상해졌다

  • 감각이 돌아오지 않고 점점 더 저릿하거나 통증이 심해진다

이런 경우에는 단순한 감각 지연이 아니라
치조신경 자극 혹은 손상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과의사의 판단을 받아야 해요.
필요할 경우 신경치료, 약물치료, 경과 관찰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감각 이상이 있을 때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관리법

  1. 해당 부위를 되도록 건드리지 않기
    무의식적으로 자꾸 혀로 만지거나, 입술을 깨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회복이 더뎌질 수 있어요.
    감각이 둔하더라도 억지로 자극을 주지 않는 게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2.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 온찜질 시도
    마취 주사 부위나 턱 라인에
    따뜻한 수건을 이용한 찜질을 하루 2~3회 정도 해주면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3. 비타민 B 복합제를 꾸준히 복용하기
    비타민 B군은 신경 회복을 돕는 영양소로,
    치과에서도 감각 회복이 느린 환자에게 자주 권장드리는 방법이에요.

  4. 과도한 음주, 흡연은 피하기
    혈류를 방해하고 회복 속도를 늦출 수 있으므로
    치료 후 최소 1주일 정도는 삼가주세요.


마무리하며

마취는 대부분의 치과 치료에서 필요한 과정이고,
대부분은 아무 문제 없이 지나갑니다.
하지만 아주 드물게,
치료 후 감각이 이상하게 남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죠.

그럴 땐 혼자 걱정만 하지 마시고,
언제까지 지켜봐야 할지,
어느 시점에 병원에 다시 가야 할지
이 글을 기준으로 삼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각 이상이 일시적이라면 조금만 기다려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반드시 치과를 방문해 전문가의 진단을 받으세요.

조금 일찍 확인받는 것이
더 큰 문제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임플란트 후 오래 쓰는 관리 루틴 5가지 – 치과위생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교정 후 치아 관리, 이것만 지켜도 반은 성공해요 20대 중반 치과위생사 추천

입 냄새 원인과 해결법, 20대 중반 치과위생사의 찐 꿀팁 대방출 안보면 손해!